💼 2026년 장애인일자리 신청 안내
보건복지부가 발표한 ‘2026년 장애인일자리 지원사업’은 고용 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자립을 돕기 위해 2025년보다 2,300명 늘어난 총 35,846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합니다.
📅 모집 일정 및 대상
- 모집기간: 2025년 11월 ~ 12월 (지자체별 상이)
- 참여기간: 2026년 1월 1일 ~ 12월 31일
- 신청대상: 만 18세 이상 미취업 등록장애인
- 신청방법: 거주지 시·군·구청 또는 수행기관(복지관 등) 방문 신청
참여자는 소득 수준, 장애 정도, 참여 경력 등을 기준으로 면접을 통해 선발되며 최종 선발자는 1년 단위로 근무할 수 있습니다. 단, 심한 장애인·기초생활수급자·만 65세 이상자는 계속 참여가 가능합니다.
🏢 사업 개요
장애인일자리 사업은 2007년부터 시행되어 장애인의 직업 경험 제공, 소득 보장, 사회참여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 2026년 예산안 기준, 총 2,546억 원 규모로 운영되며, 예산의 99%가 참여자 인건비(급여, 퇴직금, 4대보험 등)로 사용됩니다.
📊 2026년 장애인일자리 유형별 현황
| 구분 | 일반형일자리 | 복지형일자리 | 특화형일자리 |
|---|---|---|---|
| 세부유형 | 전일제 / 시간제 | 참여형 / 특수교육 연계형 |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보조 / 시각장애인 안마사파견 |
| 근무시간 | 주 40시간 / 주 20시간 | 월 56시간(주3~4일) / 주 25시간 | 주 25시간 |
| 참여기준 | 만 18세 이상 미취업 등록장애인 | ||
| 주요업무 | 공공·복지 행정업무, 사무보조, 도서관보조 등 | 식사·이동지원, 홍보업무, 편의시설 모니터링 등 | 안마 서비스, 요양보호사 보조 |
| 근무장소 | 읍·면·동 주민센터, 복지관 등 | 공공기관, 복지시설 | 요양기관, 경로당 등 |
| 월 급여 | 216만 원 / 108만 원 | 58만 원 / 135만 원 | 135만 원 |
| 일자리 수 | 8,090명 | 참여형 20,694명 / 특수교육 연계형 1,327명 | 발달장애인 보조 1,360명 |
🌟 2026년 주요 변화
- 총 일자리 35,846명으로 2,300명 확대 (’25년 33,546명 → ’26년 35,846명)
- 복지형 일자리 중심으로 심한 장애인 대상 1,600명 추가 배정
- 새로운 직무 3종 신설 ① 읽기 쉬운 자료 감수 ② 홍보 지원 업무 ③ 장애인 편의시설 모니터링
- 복지형 직무 수: 2024년 45종 → 2026년 50종으로 확대 예정
🏅 우수 참여자 사례
- 🎨 도예 프로그램 보조로 참여한 장애인이 전국 도예공모전 금상 수상
- 🤝 복지형 일자리 참여자는 협업과 소통 능력 향상으로 사회성 향상
- 👀 시각장애인 안마사는 어르신 건강 회복에 기여하며 자부심 획득
- 💪 발달장애인 참여자는 근무 병원 정직원 전환 및 사회복지사 자격 취득 준비 중
📍 신청 방법
2025년 11월부터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장애인일자리 참여자 모집이 진행됩니다.
모집 시기 및 신청 방법은 거주지 시·군·구청 또는 장애인복지관 홈페이지 공고를 확인하세요.
👉 자세한 문의는 **보건복지부 장애인자립기반과** 또는 **지역 복지센터**로 문의하시면 됩니다.
💬 보건복지부 관계자 코멘트
“장애인일자리 사업은 장애인이 스스로 자립을 통해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출발점입니다.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자체의 관심과 노력이며, 정부도 함께 지원을 강화하겠습니다.” — 김민정 장애인자립기반과장
Tags:
job

